맨위로가기

마쓰오카 야스코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오카 야스코와는 일본 제국의 법조인, 정치인, 교육자이다. 그는 1846년 아와국에서 태어나 도쿠시마 번의 번교와 에도, 오사카 등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메이지 유신 이후 법무성에서 검사, 재판관 등을 역임하며 법률 시스템 근대화에 기여했고, 내무차관, 농상무 대신, 추밀원 고문관 등을 지냈다. 또한 니혼 대학의 설립과 발전에 기여하여 초대 학장과 총장을 역임했다. 1917년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1923년 관동 대지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도쿠시마번 사람 - 하치스카 모치아키
    하치스카 모치아키는 1846년에 태어나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가담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쿠시마현 지사, 주 프랑스 특명전권공사 등을 역임했으며, 시부사와 에이이치와 함께 기업을 설립하고 JTB의 전신인 귀빈회를 창립하는 등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다 1918년에 사망했다.
  • 일본의 검사총장 - 히라누마 기이치로
    히라누마 기이치로는 일본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법무성에서 근무하며 공정한 법 집행으로 명성을 얻었고,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A급 전범으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검사총장 - 스즈키 기사부로
    스즈키 기사부로는 일본 제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수석 졸업하고 사법차관, 검찰총장, 내무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정우회 소속으로 3.15 사건을 지휘하고 정우회 총재를 역임했지만, 총리직에는 오르지 못했다.
마쓰오카 야스코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쓰오카 야스타케
존칭 접두사남작
이름마쓰오카 야스타케
출생일1846년 8월 14일
출생지일본 아와 국 이타노군 가미이타
사망일1923년 9월 1일
사망지일본 가나가와현 미우라군 하야마
국적일본
직업법학자, 각료
배우자미쓰코 고무로
자녀마쓰오카 킨페이
부모가쓰요시 마쓰오카
서명丸に三階松.png
서명 종류마쓰오카 가몬
경력
출신 학교장구관
전직검찰총장
작위/훈장다이쇼 천황 즉위 기념장
욱일대수장
서보대수장
정3위
훈2등 서보장
종3위
훈3등 서보장
대일본제국 헌법 발포 기념장
종4위
훈5등 쌍광욱일장
정7위
정치 경력
직책농상무대신
임기 시작1906년 1월 7일
임기 종료1908년 7월 14일
소속 정당제1차 사이온지 내각
직책추밀원 고문관
임기 시작1920년 10월 22일
임기 종료1923년 9월 5일
직책귀족원 의원
임기 시작1891년 12월 22일
임기 종료1920년 11월 8일

2. 생애

마쓰오카 야스코는 아와 국(오늘날의 도쿠시마현) 출신 사무라이 가문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유신 이후 법조인, 관료, 정치가로서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도쿠시마번에서 일하다 법무성으로 옮겨 검사, 검찰총장, 귀족원 의원 등을 역임했다. 이토 히로부미 내각과 사이온지 긴모치 내각에서 각각 내무성 차관과 농상무대신을 지냈다. 니혼 대학의 전신인 일본 법률 학교 설립에 기여했고, 초대 학장과 총장을 역임했다.

1923년 간토 대지진 당시 가나가와현 하야마의 자택에서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마쓰오카 야스코는 1846년 6월 23일 아와 국 이타노군 시치조 촌 (현재의 도쿠시마현 이타노군 가미이타 정 시치조)에서 도쿠시마번을 섬기는 사무라이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2] 그는 번 아카데미인 초큐칸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861년에는 에도로, 1863년에는 오사카로 유학을 떠났다. 오사카에서는 한학 숙소인 하쿠엔 서원 (현 간사이 대학)에서 후지사와 도가이에게 가르침을 받았다.[2]

1870년 메이지 유신 이후, 마쓰오카는 고향인 도쿠시마로 돌아와 현청에서 관료로 일하며 법률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1871년 중앙 정부에 채용되어 법무성 내에서 직책을 맡기 위해 도쿄로 이동했다. 그 후 도쿄와 고베의 법원에서 검사와 서기로 일했으며, 히로시마의 항소 법원(1882년)에서도 근무했다.[2]

1886년 2월, 프랑스독일의 법원 시스템을 연구하기 위해 해외로 파견되었고, 1887년 11월에 귀국하여 법무대신 야마다 아키요시 아래에서 일본 민법 개정을 위한 법률팀에 합류했다. 1888년 2월, 도쿄 고등법원의 부판사로 임명되었다. 1889년에는 니혼 대학 법학과의 설립을 도왔다.[2][3]

2. 2. 법조 관료 경력

마쓰오카 야스코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사법 제도 초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법조 관료였다. 1870년 고향인 도쿠시마 현청에서 법률 고문으로 공직을 시작하여, 1871년 중앙 정부에 채용되어 법무성에서 근무하였다. 도쿄와 고베의 법원에서 검사와 서기로 일했으며, 히로시마 항소 법원(1882년)에서도 근무하였다.[2] 1875년 5월에는 도쿄 재판소 소장을 역임하고, 이후 고베 재판소 소장, 사법 대서기관을 거쳤다.[3]

1886년 2월, 프랑스독일의 법원 시스템 연구를 위해 해외 파견을 갔으며, 1887년 11월 귀국하여 야마다 아키요시 법무대신 아래에서 일본 민법 개정에 참여했다.[2] 1888년 2월에는 도쿄 고등법원 부판사로 임명되었다.[3]

1890년 10월, 도쿄 항소 법원장이 되었고, 1891년 6월에는 검찰청의 검찰총장 직을 맡았다. 같은 해 12월, 일본 제국 의회 귀족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892년 8월 사법관 농화 사건으로 인해 검찰총장직을 사임하였다.[3]

이후 마쓰오카는 1894년부터 1898년까지 제2차 및 제3차 이토 히로부미 내각에서 내무성 차관을 역임하며 여러 위원회와 국에서 활동하였다.[2] 1898년 11월에는 행정 재판소 장관을 역임하였다.

2. 3. 정치 경력

마쓰오카 야스코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법조계와 정치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인물이다.

1890년 10월, 마쓰오카는 도쿄 항소 법원장이 되었다.[2] 1891년 6월에는 검찰청의 검찰총장 직을 맡았고,[2] 같은 해 12월에는 일본 제국 의회의 귀족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2] 1894년부터 1898년까지 제2차 및 제3차 이토 히로부미 내각에서 내무성 차관을 역임하며 여러 위원회와 국에서 활동했다.[2]

사이온지 긴모치 내각(1906–1908)에서는 농상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3] 1917년 8월에는 화족 남작 작위를 받았다.[6] 1920년 11월에는 추밀원 고문관이 되었다.[7]

다음은 마쓰오카 야스코의 정치 경력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직책
1890년 10월도쿄 항소 법원장[2]
1891년 6월검찰청 검찰총장[2]
1891년 12월일본 제국 의회 귀족원 의원[2]
1894년 ~ 1898년제2차 및 제3차 이토 히로부미 내각 내무성 차관[2]
1906년 ~ 1908년제1차 사이온지 내각 농상무대신[3]
1917년 8월남작 작위 수여[6]
1920년 11월추밀원 고문관[7]


2. 4. 니혼 대학과의 인연

1889년 니혼 대학 법학과 설립에 참여했다.[2][3] 1893년 폐교 위기에 놓인 일본 법률 학교(니혼 대학의 전신)를 나카무라 겐카, 하루키 요시아키 등과 함께 존속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같은 해 12월 일본 법률 학교 제2대 교장이 되었다. 1903년 전문학교령에 따른 대학 조직인 "니혼 대학"의 초대 학장이 되었다. 1922년 3월 니혼 대학에 총장 제도가 도입되면서 초대 총장이 되었다.[3]

2. 5. 사망

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가나가와현 하야마에 있는 그의 집이 무너지면서 1923년 9월 1일에 사망했다.[3] 향년 78세. 사망 후 종1위가 추증되었다.

3. 업적 및 평가

마쓰오카 야스코는 검찰총장과 농림대신을 역임하며 고문 제도 폐지, 재판소구성법을 중심으로 한 소송제도근대화 제창, 일본법률학교 재건 등 법률 및 교육 분야에 기여했다.

3. 1. 법률 시스템 근대화 기여

마쓰오카 야스코는 검찰총장과 농림대신을 역임했다. 특히 고문 제도의 폐지와 재판소구성법을 중심으로 한 소송제도근대화를 제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2. 니혼 대학 발전 기여

야마다 아키요시 사후, 폐교 결의까지 있었던 일본법률학교를 재건하고 30년 동안 일본대학의 발전에 기여하여, 동교의 초석을 다졌다.[1]

3. 3. 사회적 평가

마쓰오카 야스코는 검찰총장과 농림대신을 역임했다. 학문적으로는 고문 제도의 폐지와 재판소구성법을 중심으로 한 소송 제도의 근대화를 주장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야마다 아키요시가 사망한 후, 폐교 위기에 처했던 일본법률학교를 재건하고 30년 동안 일본대학 발전에 기여하여 이 학교의 초석을 다졌다.

4. 연표


  • 1846년 (고카 3년) 6월 23일, 아와국 이타노군 시치조 촌 (현재의 도쿠시마현 이타노군 가미이타 정 시치조)에서 도쿠시마번 중로 하세가와 가의 가신인 마쓰오카 사자에몬 야스요시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 1859년 (안세이 6년) - 번교 초큐칸에서 배웠다.
  • 1861년 (분큐 1년) - 에도에서 막부 유관 와카야마 못토에게 입문하였다.
  • 1863년 (분큐 3년) - 오사카의 한학 숙소 하쿠엔 서원 (현 간사이 대학)에서 후지사와 도가이에게 사사받았다.
  • 1870년 (메이지 3년) - 도쿠시마 번청의 문학 복독방에 임명되고, 이어서 공무방 응접역, 민생국 검사 조역, 소속, 권대속을 역임하였다.
  • 1871년 (메이지 4년) - 신정부에 출사, 사법성 권대록, 사법성 대록, 권소판사, 소판사를 역임하였다.
  • 1875년 (메이지 8년) 5월 - 도쿄 재판소 소장. 이후, 고베 재판소 소장, 사법 대서기관을 역임하였다.
  • 1882년 (메이지 15년) 2월 - 히로시마 항소원 재판장.
  • 1886년 (메이지 19년) 3월 - 재판 실무 시찰을 위해 독일과 프랑스로 출장.
  • 1887년 (메이지 20년) 11월 - 유럽 시찰에서 귀국. 다음 달에는 사법대신 야마다 아키요시 아래에서 법률 조사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민법과 상법 등 각종 법령의 조사와 심의에 종사하였다.
  • 1888년 (메이지 21년) 2월 - 고등법원 배석 재판관
  • 1889년 (메이지 22년) 10월 4일 - 일본 법률 학교 (후의 니혼 대학) 설립 평의원.
  • 1890년 (메이지 23년) 10월 - 도쿄 항소원장
  • 1891년 (메이지 24년) 6월 - 검사총장. 같은 해 12월, 귀족원 칙선 의원으로 칙임.
  • 1892년 (메이지 25년) 8월 - 사법관 농화 사건의 영향으로 검사총장 사임.
  • 1893년 (메이지 26년) - 폐교 위기에 놓인 일본 법률 학교의 존속을 위해 나카무라 겐카와 하루키 요시아키 등과 분주. 같은 해 12월 동교 제2대 교장.
  • 1894년 (메이지 27년) 1월 - 제2차 이토 내각에서 내무차관. 이후, 내무성 소관 사무 정부 위원, 대만 사무국 위원, 내무성 문관 보통 시험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 1898년 (메이지 31년) 1월 - 제3차 이토 내각에서 내무차관으로 재임명. 같은 해 11월 행정 재판소 장관.
  • 1903년 (메이지 36년) 8월 - 전문학교령에 의한 대학 조직 "니혼 대학" 초대 학장.
  • 1906년 (메이지 39년) 1월 - 제1차 사이온지 내각에서 농상무 대신.
  • 1917년 (다이쇼 6년) 8월 14일 - 남작.[6]
  • 1920년 (다이쇼 9년) 10월 22일 - 추밀 고문관.[7]
  • 1920년 (다이쇼 9년) 11월 8일 - 귀족원 의원 사임.[8]
  • 1922년 (다이쇼 11년) 3월 - 니혼 대학에 총장 제도를 도입, 초대 총장.
  • 1923년 (다이쇼 12년) 9월 1일 - 하야마 별장에서 관동 대지진을 만나 사망. 향년 78세. 종1위를 추증.

5. 가족

마쓰오카 야스코는 고무로 간조의 장녀 고무로 미쓰코와 결혼하여 아들 마쓰오카 킨페이를 두었다.[20] 마쓰오카 킨페이는 남작 가문을 계승함과 동시에 귀족원 의원·도쿄 제국대학 교수를 역임했다.[20] 킨페이의 장남인 마쓰오카 야스미쓰는 니혼 대학 생산공학부 교수이며, 미시마 미치아키는 킨페이의 딸 사위(야스코의 손자 사위)이다. 마쓰오카 남작의 가몬은 원 안에 세 그루의 소나무를 나타낸 ''(丸に三階松)'' 이다.[4][5]

6. 서훈

훈장 등


6. 1. 작위

작위1917년 8월 14일 남작[9]
위계
훈장 등


6. 2. 위계

6. 3. 훈장



리본 약장
리본 약장

참조

[1] 웹사이트 Matsuoka, Yasutake - Portraits of Modern Japanese Historical Figures http://www.ndl.go.jp[...] 2018-12-20
[2] 서적 退堂遺稿 松岡氏 1924
[3] 서적 松岡康毅日記 https://iss.ndl.go.j[...] 日本大学精神文化研究所 1998
[4] 웹사이트 松紋 https://ippongi.word[...] 2022-06-09
[5]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 Yoshikawa Hirobunkan
[6] 간행물 『官報』第1512号、大正6年8月15日
[7] 간행물 『官報』第2469号、大正9年10月23日
[8] 간행물 『官報』第2482号、大正9年11月9日
[9] 간행물 『太政官日誌』明治6年、第152号
[10] 간행물 『官報』第1003号「叙任及辞令」1886年11月1日
[11] 간행물 『官報』第2209号「叙任及辞令」1890年11月8日
[12] 간행물 『官報』第4046号「叙任及辞令」1896年12月22日
[13] 간행물 『官報』第906号「賞勲叙任」1886年7月9日
[14] 간행물 『官報』第1929号「叙任及辞令」1889年12月2日
[15] 간행물 『官報』第1952号「叙任及辞令」1889年12月28日
[16] 간행물 『官報』第2322号「叙任及辞令」1891年3月31日
[17] 간행물 『官報』第5696号「叙任及辞令」1902年7月1日
[18] 간행물 『官報』第7272号「叙任及辞令」1907年9月23日
[19] 간행물 『官報』第1310号・付録「辞令」1916年12月13日
[20] 문서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下巻、
[21] 서적 江藤南白 上 南白顯彰会 1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